본문 바로가기

대학원20

대학원생 석사 졸업 마지막 관문! 졸업 논문 발표하기 이전에 글을 쓰고 마무리를 안 했던 것이 있어서 오늘 마무리를 해보려 합니다. 바로바로 대학원 생활의 꽃이라 할 수 있는 디펜스를 하는 날!입니다. 자신의 졸업 논문을 마무리하고 교수님들에게 2년 동안의 결과를 보여드리는 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021.02.05 - [대학원] - 대학원생 석사 졸업 2년 동안 했던 일 (2 년차) 대학원생 석사 졸업 2년 동안 했던 일 (2 년차) 오늘은 석사 생활 중 2년 차에 대해서 포스팅을 해보려 합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한 번에 다 말씀드리려 했는데 글을 쓰다 보니 생각보다 많아지게 되었습니다. 1년 차의 석사 생활이 궁금하신 hyodong28.tistory.com 2021.02.02 - [대학원] - 대학원생 석사 졸업 2년 동안 했던 일 (1년 차) 대학.. 2021. 3. 11.
ImageJ를 이용하여 면적 계산하기 (젤 전기영동, 웨스턴블랏) 오랜만에 대학원 카테고리로 돌아왔습니다. 오늘은 젤 전기영동, SDS-PAGE, western blot을 이용하시는 분들이면 사용하였을 ImageJ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저도 젤 전기영동을 이용해서 단백질을 확인한 적이 있습니다. 웨스턴을 자주 하시는 분들은 액틴 확인할 때 이 프로그램을 많이 사용한다고 합니다. 젤을 내렸을 때 밴드의 유무를 포함해서 이 밴드의 면적을 계산을 할 수 있습니다. 만일 액틴을 보는 것이면 모든 밴드의 액틴의 양이 동일해야 할 것입니다. 저는 젤 전기영동으로 단백질이 분해가 되었는지 남아 있는지를 확인을 하였습니다. 육안으로도 확인이 가능하였지만 정확한 숫자 %로 나타내기 위해 이 imageJ를 사용하였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무료로 다운이 가능합니다... 2021. 3. 9.
대학원생 석사 졸업 2년 동안 했던 일 (2 년차) 오늘은 석사 생활 중 2년 차에 대해서 포스팅을 해보려 합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한 번에 다 말씀드리려 했는데 글을 쓰다 보니 생각보다 많아지게 되었습니다. 1년 차의 석사 생활이 궁금하신 분은 아래 포스트를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21/02/02 - [대학원] - 대학원생 석사 졸업 2년 동안 했던 일 (1 년차) 대학원생 석사 졸업 2년 동안 했던 일 (1 년차) 지난 포스팅에서 석사가 졸업하기 위한 조건(?)을 나열했었는데, 너무 간단하게만 이야기를 한 것 같아서 제가 지낸 2년을 다시 정리해보려 합니다. 저는 대학원 진학 결정을 늦게 했었습니다. 4 hyodong28.tistory.com 지난 포스팅에서 2년 차 1, 2월까지만 작성하고 말았는데요. 이 때 시기가 슬럼프같은게 오는 경우가.. 2021. 2. 5.
대학원생 석사 졸업 2년 동안 했던 일 (1 년차) 지난 포스팅에서 석사가 졸업하기 위한 조건(?)을 나열했었는데, 너무 간단하게만 이야기를 한 것 같아서 제가 지낸 2년을 다시 정리해보려 합니다. 저는 대학원 진학 결정을 늦게 했었습니다. 4학년 2학기 기말고사 시험 기간 즈음에 대학원을 진학하기로 마음을 먹고, 컨택을 해서 바로 대학원에 입학을 했습니다. 학부 연구생, 인턴 생활을 거치지 않고 3월 입학생이면 1월부터 연구실을 다니기 시작하였습니다. 1년 차와 2년 차에 어떠한 일을 했는지 정리를 해보면 좋을 것 같아서 포스팅을 하게 되었습니다. 2021/01/18 - [대학원] - 대학원 석사 2년 졸업하려면?! 1년 차 1,2월 처음 실험실에 들어가서 (학부 실험 경험은 실험수업, 캡스톤이 전부였습니다.) 여러 가지 실험을 배우기만 했습니다. 이 .. 2021. 2. 2.
대학원생 SigmaPlot 사용하기 저번 포스팅에서는 엑셀을 이용해서 2차식 그래프를 그려보았는데 이번에는 SigmaPlot을 이용하여서 그래프를 그려보려 합니다. 저희 실험실의 경우 논문에 들어가는 그래프들을 SigmaPlot을 이용하여서 만들게 됩니다. 처음 사용하게 되면 헷갈리는 경우도 있어서 오늘은 잘 정리를 해보려 합니다. 먼저 필요한 것은 자기가 그리고 싶은 데이터 값의 평균과 표준편차가 필요합니다. 앞선 포스팅에서 엑셀에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는 식이 있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2021/01/25 - [대학원] - 대학원생 농도 정량을 위한 STD(standard) 검량선 그리기 대학원생 농도 정량을 위한 STD(standard) 검량선 그리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실험에 사용하는 물질의 농도를 구하기 위한 기초작업인 STD (.. 2021. 1. 29.
대학원생 농도 정량을 위한 STD(standard) 검량선 그리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실험에 사용하는 물질의 농도를 구하기 위한 기초작업인 STD (standard) 그리기를 해보겠습니다. 이것을 검량선 이라고도 하는데요. 검량선은 정량적 측정을 하기 위해서 표준액에 대한 기기의 출력 신호를 표현한 것입니다. 그래프로 나타낼 때 X축에는 표준물질의 농도를 나타내어주고 Y축에는 사용하는 기기의 출력량 (보통 흡광 값, 형광 값)을 나타내어줍니다. 보통은 농도가 커질수록 (내부에 표준물질의 양이 많을수록) 흡광 값, 형광 값이 비례적으로 커지게 됩니다. 간단히 이야기를 하면 농도가 두배가 되면 측정하는 흡광, 형광 값도 두배가 되게 됩니다. 이러한 점을 이용해서 농도를 모르는 물질의 흡광, 형광 값을 이용하여서 농도를 구하게 됩니다. 실험을 해보지 않으신 분들도 이공계면은 .. 2021. 1. 25.